티스토리 뷰

▦졸업이수학점

 졸업 이수학점이란 각 대학교별 졸업을 인정해주는 최소 학점을 말하는데, 이 학점은 보통 자신의 계열 과목이 아니면 모두 교양 과목에 해당되어 학점점수가 낮게 책정 됩니다.

 

학점계산기로 졸업이수학점 확인하는방법

▦평균적인졸업이수학점

 아래의 졸업이수학점은 교육부 장관에 의해 전문학사와 학사학위를 받기위한 최소의 요건으로 일명 졸업 이수학점이라고 부릅니다. 총 80학점 120학점 140학점을 취득해야 졸업이 가능한데 그 안에 전공과목과 교양과목의 학점의 최소조건이 걸려 있는것이지요.

 

2년제 졸업이수학점 : 전공필수(45학점) + 교양(15학점) + 일반(20) = 80학점 = 전문학사취득

 

3년제 졸업이수학점 : 전공필수(54학점) + 교양(21학점) + 일반(45) = 120학점 = 전문학사취득

 

4년제 졸업이수학점 : 전공필수(60학점) + 교양(30학점) + 일반(50) = 140학점 = 학사취득

 

 각 학교마다 배우는 과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어느학교는 전공과목을 많이 배우거나 어느 대학은 최소학점을 취득할정도만 교과목이 잡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위의 점수를 충족시켜야만 졸업을 할수 있게 됩니다.

 

학점계산기로 졸업이수학점 확인하는방법

 

학점계산기 사용방법

학점계산기로 졸업이수학점 확인하는방법

 

 학점계산기 같은경우 사용하기가 쉽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예시만 보여드리기위해 위처럼 적었습니다. 과목이름과 점수를 적은뒤 학점은 전공과목 3점 교양과목은 2점 대부분 이렇게 계산 되실겁니다. 대학교별 전공에 따라 배우는 수업의 학점이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동적입니다.

 

 그리고 예시를 들기위해 아래에 F 학점 하나를 줬는데요. 위에서도 한번 언급했듯이 졸업하기위한 최소학점들만 모두 충족하게 되면 F 한두개 정도는 졸업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단 학칙에 의거하여 제적당하는 학교는 있을수 있습니다. 출석만 잘해도 F는 안주니까요.

 

학점계산기로 졸업이수학점 확인하는방법

 

만약F학점을 받았다면?

 많은 대학생들이 궁금해할 점이라고 생각되는데요. 한과목정도 F학점을 받았는데 자신이 전공과목이나 교양과목 최소조건은 채웠다라고 한다면 자신의 받아야하는 총 학점 즉 80/120/140 학점만 채우면 졸업할수 있습니다.

 

 만약 최소조건은 충족했으나 총학점을 채워야 한다면 자신의 학과 스케쥴에 교양이나 전공과목을 추가하여 학점을 채워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못할경우에는 내년에 학비를 또내고 한학기 더 다녀야 하는 불쌍사가 생길수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